패키지 구성

전 장에서 리눅스 배포판과 RHEL 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했으니 이번 장에서는 직접 리눅스를 설치하도록 하자. 전절에서 설명했듯이 CentOS 는 RHEL 의 소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므로 동일한 설치 프로그램(아나콘다 인스톨러)을 사용한다.

그래서 설치 초기 제품 안내 화면이나 설치 과정에 표시되는 제품명등을 제외하고는 두 OS 간의 설치 절차는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중요한 차이는 RHEL 와 CentOS 는 패키징이 약간 다르다는 것이다. RHEL 의 경우 다음과 같은 패키지가 제공된다.

  •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RHEL 설치 프로그램을 포함한 전체 패키지로 32비트와  64비트에 따라 각각의 ISO 이미지로 제공된다. 
  • RHEL Server Supplementary
    부가적인 패키지로 일반적으로는 설치할 필요는 없다. 포함된 패키지로는 adobe acrobat reader, flash player, IBM 이 개발한 JDK 및 JRE, 고스트 스크립트용 중국어 글꼴등이다.

CentOS 는 RHEL 보다 다양한 설치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다.

  • CentOS-6.5-x86_64-minimal.iso
    시스템에 꼭 필요한 최소 패키지만 모아 놓은 설치본이다. 설치후에 필요한 패키지는 yum 명령어를 이용하여 별도로 설치하면 된다. 전체 DVD 설치본에서 "Minimal" 설치를 택한 것과 동일하다. 설치 경험이 많고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익숙하지 않다면 권장하지 않는다.

  • CentOS-6.5-x86_64-netinstall.iso
    네트워크로 설치하기 위한 패키지이다. 기본적인 패키지만 포함하고 설치시 필요한 패키지는 모두 네트워크로 내려 받아 설치한다. DVD 설치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DVD 미디어가 없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권장하지 않는다.

  • CentOS-6.5-x86_64-bin-DVD1.iso
    대부분의 패키지를 포함하고 있는 설치본이다. 보통 DVD1 만 있으면 충분하며 이 파일을 DVD 로 만들어서 설치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 CentOS-6.5-x86_64-bin-DVD2.iso
    각종 개발용 라이브러리 및 문서, 자주 쓰이지 않는 도구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미지를 DVD 로 만들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패키지가 있다면 yum 으로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 CentOS-6.5-x86_64-LiveDVD.iso
    리눅스가 설치된 상태로 DVD 에 구운 이미지로 직접 설치하지 않고 DVD 로 부팅하여 리눅스를 체험해 볼 수 있다. OS와 응용프로그램이 DVD 로 부팅하고 실행되므로 부팅 속도와 구동 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리눅스를 설치하지 않고 체험만 해보고 싶다면 이 DVD 로 부팅해서 사용하는 방법보다는 VMWare 나 VirtualBox 같은 가상 머신을 설치하고 그 위에 리눅스를 설치하여 체험해 보는 방법을 권장한다.

설치본은 개발 도구, 인터넷 브라우저, FTP 서버, 엑스 윈도(X-Windows) 시스템, Gnome 나 KDE 같은 그래픽 기반의 데스크탑등 다양한 패키지 그룹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 책은 리눅스를 데스크탑이 아닌 서버 환경으로 사용하는 법을 다루므로 엑스 윈도 시스템이나 그래픽 데스크탑등의 패키지는 설치하지 않고 서버 운영에 필요한 패키지만 최소로 설치하고 설정을 진행하고자 한다.

 

리눅스를 서버로 사용할 경우 사용하는 패키지만 최소로 설치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사용하는 패키지만 설치하므로 설치가 빠르고 시스템 용량이 작고 가벼우며 유지 관리할 대상이 줄어드므로 향후 OS 나 패키지 업그레이드나 업데이트시에도 수행이 용이하다.
  2.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로 인한 보안 취약점(사용하지 않는 FTP 서버, 삼바 서버등 서비스를 부팅과 동시 구동되게 설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등)이 발생할 우려가 적어지며 보안 업데이트 대상도 적어지므로 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설치 매체 준비


설치 프로그램 부팅

리눅스를 설치하려면 설치 대상 장비를 부팅하고 설치 프로그램을 구동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CD/DVD , 또는 USB 에 부팅 가능한 설치본을 만든 후에 이것으로 부팅하는 것이다.

하지만 리눅스 장비가 다수일 경우 부팅부터 설치를 자동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RHEL 은 사전 부팅 실행 환경(PXE - Pre-boot eXecution Environment) 이라는 방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부팅을 지원하고 있다. PXE 부팅은 본 도서의 범위를 넘어가므로 설치 머신에서 설치 미디어를 이용하여 부팅하는 방법으로 진행해 보자.

 

설치 미디어

설치 미디어는 보통 DVD나 USB 를 사용하지만 이외에 다음과 같은 설치 방법이 있다

  • 하드 디스크에서 설치
    설치할 장비의 디스크에 설치 패키지를 복사해 놓고 설치하는 방법이다. 하드 디스크에서 패키지를 읽으므로 설치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비의 디스크에 복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 으로부터 설치
    설치 미디어를 다른 서버에 복사한 후에 N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다. NFS 서버 설정을 해야 한다.
  • FTP/HTTP/HTTPS 로 설치
    다른 서버에 설치 미디어를 복사한 후에 설치하는 방법이다. FTP 보다는 HTTP/HTTPS 가 환경 구성이 간편하다. 설치 장비에 DVD 리더가 없거나 여러대의 장비에 리눅스를 설치해야 하거나 설치를 자동화할 경우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 가장 손쉬운 방법인 DVD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설치하도록 하자. RHEL 의 경우 서브스크립션을 구입하면 라이선스 증서와 함께 설치 iso 를 제공하므로 이것을 사용해도 되며 아니면 레드햇 네트워크(http://rhn.redhat.com)에 연결하여 최신 설치 이미지를 다운받으면 된다.

 

CentOS 를 설치하는 독자의 경우 CentOS 의 미러 사이트 정보 페이지(http://isoredirect.centos.org/centos/6/isos/x86_64/) 에 연결하면 접속자의 IP 를 확인하여 가까운 미러 사이트를 알려준다. 씨디네트워크스나 나이스호스팅, 티티호스팅같은 국내 호스팅업체에서 미러를 제공하므로 여기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를 다운받으면 된다.

 

패키지 파일을 구했다면 이제 설치 DVD 로 만들어야 하므로 사용하는 DVD 라이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so 를 부팅 가능한 DVD 로 만들어 보자.

설치




DVD 로 부팅

DVD 로 부팅하면 부트 매니저가 다음과 같은 메뉴 페이지를 표시한다. RHEL 과 CentOS 의 초기 화면은 로고와 제품명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메뉴와 기능을 제공한다.

우리는 설치가 목적이므로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 이 선택된 상태에서 엔터를 치면 설치 과정으로 들어간다.

 

 

 

 




설치 미디어 검증

이제 리눅스로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면 디스크를 찾았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설치 DVD 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겠냐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Ok 를 누르면 검사하는데 약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개인적으로는 미디어와 굽는 프로그램의 신뢰성이 좋아져서 설치시에 미디어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적은 없어서 검사를 하지 않고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




인스톨러 구동

위 과정이 끝나면 리눅스 설치 프로그램인 아나콘다 인스톨러가 구동된다. 아나콘다는 RHEL 기반의 배포본인 오라클 리눅스나 Scientific 리눅스등에서도 사용되므로 다른 RHEL 파생 배포본도 어렵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아나콘다의 초기 화면은 로고와 배포본의 이름이 들어가므로 두 제품이 서로 다르다.




언어와 키보드 선택

이제부터는 두 제품 모두 동일한 화면으로 설치가 진행된다.

제일 먼저 설치시 사용할 언어를 선택해야 한다.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면 Korean(한국어) 가 있으므로 선택한후에 Next 를 클릭하자.

 




키보드 선택

 

사용할 키보드를 선택한다. 스크롤을 내리면 하단에 한국어 가 있다. 엑스 윈도를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므로 영어로 선택해도 사용에는 큰 지장이 없다.

 




저장 장치 선택

 

리눅스를 설치할 저장 장치의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일반 하드 디스크에 설치할 경우 기본 저장 장치 를 선택한다. SAN 이나 iSCSI 디스크에 설치할 경우 특별한 저장 장치 를 선택해야 한다.

 




저장 장치 경고

 

OS가 설치되지 않아서 디스크에 파티션이 없거나 파일 시스템이 없을 경우 파일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이럴 경우 기존 데이타는 모두 삭제되므로 다음과 같은 경고창이 표시된다. 기존 데이타가 없는 신규 서버라면 를 선택해서 진행하고 기존 데이타가 있는 서버에 설치할 경우 기존 데이타를 백업하고 다시 설치를 진행해야 한다.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를 설정할 단계이다. 호스트명이 있는 경우 입력하고 하단의 네트워크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과 같이 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가 표시된다. 여러 개가 있을 경우 모두 표시된다. 네트워크에 연결할 카드를 선택한 다음 변경하기 를 클릭한다.

업무 환경에서 사용하는 IP 의 버전에 따라 IPV4 설정 또는 IPv6 설정을 클릭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진행한다. DHCP 를 사용할 경우 방식에서 자동 (DHCP) 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NIC 에 할당할 IP 주소와 넷마스크,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어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하는 DNS 서버를 설정해야 한다. 검색 도메인 을 설정하면 도메인을 조회할 경우 설정한 도메인을 붙여서 조회해 준다. 예를 들어 nslookup svn 을 수행할 경우 검색 도메인으로 지정한 example.com 을 붙여서 svn.example.com 을 찾아 주게 된다.

설정을 마쳤으면 적용 을 클릭하여 변경을 저장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목록 화면에서도 닫기 를 클릭하여 네트워크 설정 화면으로 돌아온 후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시간대 설정

 

서버가 속한 시간대를 설정한다. 설치 과정에서 언어를 한글로 선택했으면 아시아/서울 이 선택되어 있을 것이다.




관리자 암호 설정

 

시스템의 관리자인 root 의 암호를 설정한다. 잊어 버리면 복구 모드로 들어가서 복구해야 하므로 주의깊게 설정한다.

 

논리 볼륨 관리자(LVM - Logical Volume Manager)

논리 볼륨 관리자에 대한 지식은 리눅스에서 저장 장치를 다루는 경우 필수이므로 파티션 작업을 진행하기전에 간단하게 LVM 의 개념과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논리 볼륨 관리(Logical volume management)는 디스크나 대용량 스토리지 장치를 유연하고 확장이 가능하게 다룰수 있는 기술이며 이를 리눅스 커널에 구현한 기능은 Logical Volume Manager 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저장 장치를 사용했던 방식은 물리 디스크를 파티션이라는 단위로 나눠서 이를 운영체제에서 마운트해서 사용했으며 마운트를 하려면 파티션을 특정 디렉터리와 일치시켜 주어야 했다.

만약 특정 디렉터리(/home 이라 가정하자)에 마운트된 파티션(위 그림에서는 /dev/sdb2)이 용량이 찼을 경우 다음과 같이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실수로 인해 데이타를 손실하는 경우도 있었다.

  1.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 장착 (/dev/sdc)
  2. 추가된 디스크에 파티션 생성 및 포맷(mkf2fs /dev/sdc1)
  3. 새로운 마운트 포인트(/home2) 를 만들고 추가한 파티션을 마운트 (mount /dev/sdc1 /home2)
  4. 기존 home 데이타를 home2 에 복사 또는 이동 (cp -a /home/* /home2/)
  5. 기존 home 파티션을 언마운트(unmount /home)
  6. home2 를 home 으로 마운트  (mount /dev/sdc1 /home)

LVM 은 이름처럼 파티션대신 볼륨이라는 단위로 저장 장치를 다룰 수 있으며 물리 디스크를 볼륨 그룹으로 묶고 이것을 논리 볼륨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므로 스토리지의 확장이나 변경시 서비스의 변경을 할 수 있으며 특정 영역이 사용량이 많아져서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거나 할 경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을 보자.

이제 /home 영역이 거의 찼을 경우 LVM 이 적용되어 있으면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1. 추가 디스크를 장착
  2. 추가된 디스크에 파티션을 만들어 물리 볼륨 생성 (pvcreate /dev/sdc1)
  3. 물리 볼륨을 볼륨 그룹에 추가. home 은 vg_data 볼륨 그룹이므로 여기에 추가한다. (vgextend vg_data /dev/sdc1)
  4. home 이 사용하는 논리 볼륨인 lv_home 의 볼륨 사이즈를 10G 를 증가 시킨다. (lvextend -L+10G /dev/vg_data/lv_home)

위와 같이 볼륨의 변경 작업을 기존 데이타의 삭제나 이동없이 서비스가 구동중인 상태에서 유연하게 볼륨을 늘릴 수 있으므로 LVM 은 리눅스 서버를 운영할 경우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기술이다.

아나콘다 인스톨러는 설치시 자동 파티션 옵션을 선택하면 LVM 을 사용하여 파티션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있다.


파티션 및 설치 종류 선택

 

설치 공간을 선택하고 파티션으로 나누는 가장 중요한 단계로 기존 데이타가 있을 경우 손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신규 서버가 아닐 경우 데이타를 백업했는지 확인한 후에 진행하자.

설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모든 공간 사용 
    신규 장비에 설치시 적당한 옵션으로 선택된 드라이브의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고 전체를 리눅스 영역으로 사용하므로 기존 데이타가 있는지 꼭 확인하고 선택해야 한다. 
  • 기존의 Linux 시스템 교체 
    기본 설치 옵션으로 윈도나 MacOS X 등의 다른 OS 가 있는 파티션은 삭제하지 않고 리눅스 파티션이 있을 경우 삭제하고 설치한다. 
  • 현재 시스템 축소하기 
    리눅스를 설치할 파티션 공간이 부족할 경우 기존에 있는 파티션의 크기를 줄여서 설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메뉴이다. 
  • 여유 공간 사용
    디스크에 여유 공간이 있을 경우 기존 파티션은 놔두고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한 후에 여기에 설치한다.
  •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 
    아나콘다 설치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파티션 레이아웃을 생성하나 이 옵션을 선택할 경우 수동으로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기본값인 기존의 Linux 시스템 교체 를 선택하고 하단의 파티션 레이아웃 확인 및 변경(V) 옵션을 선택하자. 이 옵션을 선택하면 설치 프로그램이 생성하는 파티션 및 마운트 포인트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레드햇은 설치시 다음 4개의 파티션은 확장을 위해 별도의 파티션으로 만드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 swap 파티션
    최소 256MB 이상이어야 한다. 스왑 파티션은 시스템이 데이타 처리시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데이타 저장 용도로 사용된다. 예전에는 시스템에 장착된 RAM 용량과 동일한 크기의 스왑 공간을 잡는 것을 권장했지만 시스템에 장착되는 RAM 용량이 커짐에 따라 최근에는 시스템 RAM 용량보다는 시스템 RAM의 표준 작업량에 기반하여 스왑 잡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아래의 표를 보고 RAM 용량에 기반하여 스왑 크기를 산정해 보자.

     

  • /boot
    리눅스 커널이 위치하며 GRUB 부트 로더가 이 디렉터리를 참고하여 리눅스 커널을 로딩한다. 커널 업데이트시 문제 발생시 예전 커널로 부팅하기 위해 기존 커널을 남겨놓으므로 최소 250MB 이상을 잡는 걸 권장한다. GRUB 부트 로더는 ext2, ext3, ext4(권장)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므로 이 세 개중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파티션을 포맷해야 한다. Reiserfs, XFS나 VFAT 등의 파일 시스템은 지원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root 파티션
    루트 파티션은 / 에 마운트되며 /usr, /tmp, /var 같은 중요한 디렉터리들이 위치하게 된다. 주의할 점은 /usr 을 root 파티션과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리할 경우 부팅이 제대로 안 될 수 있다. 리눅스는 부팅 과정중 root 파티션을 마운트하고 부팅에 필요한 요소들을 /usr 디렉토리에서 찾는데 /usr 이 별도의 파티션이 되면 부팅 과정이 더 복잡해 지고 부팅에 실패할 수 있으므로 /usr 을 분리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home 파티션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및 데이타가 위치하는 파티션이다. 적당히 큰 크기를 잡는 것을 권장한다.
  • /var 파티션
    /var 는 여러 가지 데이타와 로그가 저장되는 디렉터리로 Web 서버나 DB 서버나 메일 서버등을 운영할 경우 /var 를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리하는 게 좋다. MySQL 의 data 나 메일 서버의 메일큐, 서버의 로그 파일, 웹서버의 컨텐츠, yum 의 패키지 캐쉬등은 모두 /var 디렉터리에 저장된다. 서버의 경우 데이타가 계속 증가하므로 /var 는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리하고 향후 확장을 위해 LVM 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제 실제 파티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을 클릭해 보자.

 

사용할 디스크 선택

이 화면은 디스크가 하나일 경우는 표시되지 않고 여러개의 디스크가 장착된 장비일 경우에만 표시되는 화면이다.

좌측은 장착된 전체 디스크를 표시하며 리눅스에 사용할 디스크는 화살표를 눌러서 우측으로 보내면 된다.

2개 이상의 디스크를 사용할 경우 GRUP 부트 로더를 설치할 디스크를 지정해야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리눅스용 디스크를 선택하고 부트 로더를 설치할 디스크를 선택했다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자.

 

아나콘다 인스톨러가 설정한 파티션 레이아웃으로 디스크 2개를 vg_rhel 이라는 볼륨 그룹으로 묶고 논리 볼륨으로 lv_root, lv_swap 을 만들었다. vg_root 는 마운트 지점이 / 이고 다른 논리 볼륨을 지정하지 않았으므로 /usr, /home, /var 등의 디렉터리가 다  lv_root 볼륨에 포함되게 된다. 디스크 용량이 클 경우 인스톨러가 home 등을 별도의 논리 볼륨으로 만들어준다. 

 

파티션 작업은 중요한 작업이므로 별도의 디스크 레이아웃을 구성하기를 원하는 독자는 다음 과정을 수행하고 기본 파티션 레이아웃으로 사용할 독자는 이 절차를 건너 뛰어도 된다.

 

파티션 레이아웃 설정

/var 같은 중요한 파티션은 별도의 논리 볼륨 그룹으로 분리하여 관리하는게 좋으므로 하나의 디스크는 별도의 볼륨 그룹에 할당하고 논리 볼륨을 만들어서 관리해 보자.

 

볼륨 그룹 분리

볼륨 그룹을 생성하려면 LVM 으로 포맷된 여유 파티션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한다. 현재 디스크가 두 개이고 디스크마다 LVM 파티션이 하나씩 있으므로 두 번째 디스크인 /dev/sdb1 을 여유 LVM 파티션으로 만들어야 한다.상단의 LVM 볼륨 그룹에서 볼륨 그룹명(vg_rhel) 을 클릭하여 선택한 후에 하단의 편집 메뉴를 클릭하면  볼륨 그룹을 수정하는 메뉴가 표시된다.

"사용할 물리적 볼륨" 메뉴에서 sdb1 을 체크를 해제하면 vg_rhel 볼륨 그룹에서 분리되지만 lv_root 의 파티션 용량은 해제된 파티션만큼 줄지가 않으므로 이 상태에서 확인을 누르면 설치시에 에러가 발생한다.


lv_root 를 선택하고 "편집"을 누른후에 용량을 최대 용량에 맞게 수정한 후에 "확인"을 클릭하여 디스크의 용량을 수정하자.

 

 

볼륨 그룹 생성 및 논리 볼륨 추가

/dev/sbd1 을 분리하여 미할당된 LVM 파티션이 있으므로 새로운 볼륨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상단의 "LVM 볼륨 그룹" 에 클릭하여 선택되도록 한 후에 하단의 "만들기"를 클릭하여 "저장소 만들기" 메뉴 화면으로 진입해 보자.

"저장소 만들기" 에서는 새로운 볼륨 그룹을 추가할 예정이므로 "LVM 볼륨 그룹" 을 선택하고 "생성" 을 클릭하면 "LVM 볼륨 그룹 만들기" 화면으로 변경된다.

 

볼륨 그룹명에는 vg_var 와 같이 식별 가능한 이름을 부여하고 "사용할 물리적 볼륨"은 미할당된 디스크를 선택한다. 이제 볼륨 그룹에 추가할 논리 볼륨을 만들 순서이므로 하단의 "추가"  버튼을 눌러서 논리 볼륨 추가 화면으로 들어가 보자.

마운트 지점은 /var 를 입력하고 파일시스템 유형은 "ext4" 를 선택하자. 논리 볼륨명은 식별 가능한 이름을 주는게 좋으며 관례상 lv 로 시작하는 이름을 부여하므로 lv_var 로 지정하자. 용량은 파티션의 최대 용량을 지정하고 확인을 누르면 작업이 완료된다.

최종 구성된 파티션 레이아웃은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볼륨 그룹으로 구성된다.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다음"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포맷 경고창이 뜨며 데이타 삭제에 대해서 경고한다. 

포맷해도 문제가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고 다음을 누르면 파티션 구성을 디스크에 반영한다는 안내창이 뜬다. 디스크에 변경 사항 기록(W) 을 클릭하거나 Alt-W 키를 누르면 포맷이 진행된다.

 

 

부트 로더 설치

부트 로더를 설치할 장치 및 부트 로더에 등록할 운영 체제 선택창이 표시된다. 특별히 설정할 게 없다면 다음으로 진행하자.

 

패키지 그룹 설치

이제 설치할 패키지를 선택할 순서이다. 도입부에 설명했듯이 RHEL과 CentOS 는 패키지 구성이 약간 다르며 이에 따라 설치시 패키지 선택 옵션도 약간 다르다. 각각의 화면을 보면서 설치를 진행해 보자.

RHEL 패키지 그룹

RHEL은 기본 패키지 설치 옵션이 기본 서버 설치 이다. 이 옵션을 선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패키지가 설치된다. 

  • base
    RHEL/CentOS Linux의 기본 패키지 그룹으로 꼭 필요한 패키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 console-internet
    콘솔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그룹으로 터미널 웹 브라우저인 elinks 가 기본 설치된다. 
  • core
    bash, iptables, openssh, rpm, yum, vi 등 시스템에 필수로 필요한 핵심 패키지가 포함된 그룹이다.
  • debugging
    잘못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디버깅과 성능 문제 진단을 위한 패키지 그룹으로 GNU debugger 인 gdb와 커널의 시스템 콜을 추적할 수 있는 strace 등이 설치된다.
  • directory-client
    LDAP 디렉터리 서비스 클라이언트들을 포함하고 있는 패키지 그룹이다.
  • hardware-monitoring
    서버 하드웨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도구들이다.
  • java-platform
    Linux 서버와 데스크탑 플랫폼을 위한 자바 지원 패키지 그룹으로 OpenJDK 가 설치되며 Oracle 의 JDK 를 설치하는게 더 좋다.
  • large-systems
    커다란 시스템을 위한 성능 지원 도구 패키지 그룹이다.
  • network-file-system-client
    네트워크 저장소에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할 수 있도록 samba 나 cifs, nfs clinet 들이 설치된다.
  • performance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성능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도구들로 blktrace, sysstat가 기본 설치된다.
  • perl-runtime
    펄 인터프리터와 공통 라이브러리와 기능이 설치된다.
  • server-platform
    Linux 서버 플랫폼을 위한 지원 라이브러리 패키지 그룹으로 db4, openldap, openssl 등의 패키지가 설치된다.

 

웹서버 를 선택할 경우 기본 서버의 패키지 구성과 유사하나 다음 항목들이 다르다. 

  • hardware-monitoring, large-systems 패키지 그룹 삭제
  • 다음 패키지 그룹들은 추가로 설치된다.
    • mysql-client
      MySQL SQL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와 관련 패키지.
    • php
      PHP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postgresql-client
      PostgreSQL SQL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와 관련 패키지.
    • turbogears
      python 의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web-server
      아파치 웹서버와 매뉴얼 및 기본 모듈(mod_ssl 등) 이 설치되며 Perl과 Python 웹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mod_perl, mod_wsgi 등의 모듈이 설치된다.

    • web-servlet
      시스템이 자바 서브릿을 호스트팅 할 수 있도록 톰캣과 부가 패키지를 설치한다. 

web-servlet 이나 turbogears 등은 해당 프레임워크로 개발하지 않는다면 사용할 일이 없으므로 기본 서버 를 선택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 불필요한 패키지를 제외하고 웹서버 패키지만 설치하자.

이제 다음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안내 화면이 펼쳐지고 설치가 진행된다.

 

 

CentOS 패키지 그룹

CentOS 는 상단의 메시지에는 "디폴트 설치"가 "최소 설치"라고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 패키지 그룹 선택은 Desktop 으로 되어 있고 RHEL 에는 없는 Minimal 설치 옵션도 표시되어 있다. 데스크탑일 경우 엑스 윈도 시스템과 gnome 등 매우 많은 프로그램이 설치되므로 RHEL처럼 Basic Server 옵션을 선택해서 설치를 진행하자.

다음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안내 화면이 펼쳐지고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 완료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화면이 표시될 것이다. 

DVD 미디어를 제거하고 재부팅을 클릭하여 새로운 시스템으로 부팅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