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에서 gvim 을 구동하면 기본 글꼴이 Fixedsys 라 가독성이 떨어지고 사용이 불편하므로 글꼴을 바꿔주고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특히 vim 7 이상부터는 direct-x 를 통한 렌더링 가속을 지원하므로 direct-x로 렌더링을 설정하면 GDI 에 비해 glyph 들을 더 빠르고 가독성 좋게 렌더링합니다.
다음은 제가 사용하는 windows 용 gvim 설정으로 OS 에 상관없이 "Jetbrain Mono" 글꼴을 사용하고 Windows 에서는 ClearType, OS X 에서는 anti aliasing 을 사용하는 설정입니다.
if has("gui_running")
set encoding=utf-8
source $VIMRUNTIME/mswin.vim
behave mswin
if has('win32')
set keymodel=startsel
" set guifont=Source\ Code\ Pro:h16:cANSI:qDEFAULT
set guifont=JetBrains\ Mono\ Regular:h18:cANSI:qDEFAULT
" set guifont=D2Coding\ ligature:h16:cHANGEUL:qDEFAULT
set renderoptions=type:directx,
\gamma:1.0,
\contrast:0.5,
\level:1,
\geom:1,
\renmode:5,
\taamode:1
" restore Ctrl-F to Page down
unmap <C-F>
elseif has('gui_macvim')
set guifont=JetBrains\ Mono\ 16
set antialias
else
set guifont=JetBrains\ Mono\ 16
endif
" Turn off toolbar
set guioptions-=T
" Turn on menu
set guioptions+=m
end
VIM
font 설정
직접 폰트명,스타일,크기를 지정해서 설정하기가 어려울수 있으므로 다음 명령으로 "글꼴 설정 창" 을 띄워서 설정하면 됩니다.

창에서 글꼴 설정이 끝났으면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설정한 글꼴 정보를 하단에 표시하므로 이 정보를 설정 파일(_gvimrc)에 추가해 주면 됩니다.

render option
설정 파일에 지정한 renderoptions 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 | type | 의미 | 범위 |
---|
gamma | float | gamma | 1.0 - 2.2 (maybe) |
contrast | float | enhancedContrast | unknown |
level | float | clearTypeLevel | unknown |
geom | int | pixelGeometry | (0 - FLAT, 1 - RGB, 2 - BGR) |
renmode | int | renderingMode | (0 - DEFAULT, 1 - ALIASED, 2 - GDI_CLASSIC, 3 - GDI_NATURAL, 4 - NATURAL, 5 - NATURAL_SYMMETRIC, 6 - OUTLINE) |
taamode | int | textAntialiasMode | 0 - DEFAULT, 1 - CLEARTYPE, 2 - GRAYSCALE, 3 - ALIASED |
같이 보기
Ref